2023 04 Dream Idea Machine
ART CITIES: Dubai-Ran Hwang
By Efi Michalarou
Ran Hwang’s Korean heritage as well as her experience living and working in the United States influence her art- making. Instead of painting on canvas, she adheres buttons, beads, crystals, pins, and threads to Plexiglas and wooden panels. Ran’s work is both conceptual and practical, as she engages with Zen Buddhist ideology of repetition through the execution of her artistic process. For the most part, Hwang’s choice of materials allows her audience to become engaged in both viewing and sensorially exploring these assemblages at the same time. Made of thousands of tiny buttons, crystals, beads, and threads on pins, rising just above the magnificent surfaces from which they protrude to cast shadows and paint pictures with pointillistic mastery; Ran Hwang’s work cascades. As they cascade, they charm, educate and surprise the onlookers. Her creations can be characterized as a series of isolated actions, often on walls, that combine to form larger works. Single particles join hands to meditatively create greater cascading movements or motion, waves of substance, fully present and somehow alive. Each piece is carefully placed to depict something like motion, with one layer positioned over another as intricate sub-events endlessly combine for an overall effect that is euphoric, transcendent and whole. Born in the Republic of Korea in 1960, Ran Hwang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both Seoul and New York City. Before coming to NY in 1997 to pursue her education at the School Of Visual Arts, she trained as a painter in Seoul. So, with a strong start in the fundamentals, she started grad school in NYC as a painter, working as a designer for an embroidery factory in the garment district to make ends meet. While there, she discovered boxes of unused buttons, and was struck by the lack of attention they received. Her engagement with materials became increasingly sculptural as she moved from small collage pieces with buttons to her first large installation in Soho on her studio wall. These works charted a path forward for Ran. In 2001, at her studio in Dumbo, Hwang observed the twin towers collapse during 9/11 from her own window. This left a great impression on her, leading her to contemplate ideas of life, death, and rebirth that would translate in her work for years to come. Today she has also expanded her work to include multimedia. several large and elaborate installation pieces built out of the everyday materials she loves, innovative production methods, and is rooted in budding 21st-century global contemporary art practices. Hwang’s motifs of intricate blossoms and Buddha’s – which appear across a variety of media – stem from her fascination with Zen Buddhism. Buddhism is integral to Hwang’s creative process and labor-intensive execution. To construct much of her work, Hwang creates paper buttons by hand, hammering each one approximately twenty-five times until it is secure. Her process requires the utmost concentration and discipline, recalling the meditative state practiced by Zen masters.
황란의 작품세계는 한국의 전통과 미국에서 일하며 살던 경험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캔버스에 그림을 그리는 대신 단추, 비즈, 크리스탈, 핀 혹은 실 등을 Plexiglas나 목재 패널에 붙여 제작한다. 황란의 작품은 개념적이면서도 실용적인데, 선불교사상의 영향으로 제작과정에서 반복적인 행위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황작가의 재료선택의 영향으로 관객들은 감상과 동시에 이러한 집합체들에 대한 감각적 경험에 빠져든다. 수천개의 작은 단추들, 크리스탈, 비즈 그리고 실과 핀등이 거대한 화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그림자를 형성하고 정련된 점묘법으로 구현한 형상이 마치 폭포처럼 쏟아져내리는듯 하다. 그렇게 쏟아져내리는 이미지로 관객들을 매혹하고 교훈을 주고 놀라움을 선사한다. 황작가의 제작과정의 특징은 일련의 고립된 행위가 주로 벽 위에 합쳐져 커다란 형상을 구현한다는 점이다. 단일체들은 손에 손잡고 명상적으로 폭포처럼 쏟아지는 움직임과 동세 그리고 물질성의 파동을 만들어내며 살아 숨쉰다. 각 피스들을 하나하나 주의깊게 놓아 움직이는 듯한 이미지를 묘사하는데 층을 이루며 부수적 사건들이 끊임없이 결합되고 쌓여서 황홀하고 초월적이며 충만한 전체적 효과를 나타낸다.1960년 한국에서 태어나 황란은 현재 서울과 뉴욕시에 거주하고 있다. 1997년 School of Visual Art 에서 유학하기 위해 뉴욕으로 건나가기 전까지는 서울에서 화가로서 수련받았다. 그렇게 탄탄한 기초과정을 시작으로 뉴욕시에서 대학원 과정을 시작했고 생계를 위해 자수공장의 디자이너로 일하며 화가로 활동했다. 그 동안, 사용하지 않은 단추들로 가득찬 상자들을 발견했고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다는 사실에 놀랐다. 작은 꼴라쥬 작품들로부터 소호에 있는 그녀의 작업실에 설치한 첫 대형작품에 이르기까지 황작가가 작품의 소재들과 맺는 관계가 점점 더 입체적으로 변모했다. 이러한 작품들은 황란이 앞으로 나아가게 만들었다. 2001년, 덤보에 위치한 작업실 창문 밖으로 9/11 테러로 인해 쌍둥이빌딩이 붕괴되는 장면을 목격하였다. 이는 작가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삶과 죽음 그리고 재탄생에 대해 숙고하고 그 후 수년간 그의 작품으로 재해석하는 계기가 되었다. 최근에는 멀티미디어 작품으로 영역을 확대했는데 몇몇의 섬세한 대형설치물들 역시 그녀가 좋아하는 일상용품을 사용하여 21세기 싹트는 세계적인 현대미술 현장의 흐름에 기인한 혁신적 생산방식으로 만들었다. 황작가는 연약한 꽃송이들과 더불어 선불교사상의 영향을 받은 부처의 형상 등을 모티브로 삼아 다양한 매체로 제작한다. 불교사상은 황작가의 작품세계와 노동집약적 제작방식을 이루는 주요한 개념이다. 대체로 황작가는 작품을 구현하기 위해서 종이단추를 손수 만들고 각각의 핀들을 25여회 망치로 두드려 고정시킨다. 이러한 과정은 고도의 집중력과 집념을 요하는데 선불교도들의 수행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번역: 최미수